경산시립박물관, 특별기획전 '경산에서 타오른 의병의 불꽃_임진왜란의 기억' 개막

2025-11-16 13:47

add remove print link

경산 의병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자리로 마련

경산에서 타오른 의병의 불꽃_임진왜란의 기억 포스터.  / 경산시 제공
경산에서 타오른 의병의 불꽃_임진왜란의 기억 포스터. / 경산시 제공

[경산=위키트리]전병수 기자=경산시립박물관은 지난 15일을 시작으로 2026년 5월 10일까지 2층 특별전시실에서 2025 특별기획전 '경산에서 타오른 의병의 불꽃_임진왜란의 기억'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특별전은 약 430여년 전,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분연히 일어나 고향과 조국을 지켜낸 경산 의병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자 마련됐다.

박물관에선 임진왜란을 경산의병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총4부로 구성된 전시를 통해 잊혀졌던 경산 의병의 활약을 새롭게 조명한다.

전시는 △1부 나라가 불타다 △2부 나라를 위하여 의병이 되다 △3부 우리의 의병을 기억하다 △4부 그날의 불씨를 오늘에 잇다로 구성했다.

이를 통해 임진왜란의 전야, 발발부터 의병의 창의(倡義), 경산 의병 86명의 활동, 그 정신을 이어간 후손들의 이야기까지 역사적 흐름을 따라가며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1부 나라가 불타다에서는 임진왜란 발발 직전, 조선과 일본의 동향에 대해 다루고 임진왜란 발발 직후 부산의 함락과 그 속에서 끝까지 맞서 싸운 경산 자인 출신 두형제(최팔개·최팔원)의 의병활동을 소개한다.

2부 나라를 위하여 의병이 되다에선 나라가 무너져가는 상황속에서 백성과 조국을 지키기 위하여 의병이 된 창의(倡義)에 대해 다룬다.

경산에서는 1592년 4월 22일 하양현의 신해, 5월 7일 자인현의 최문병, 6월 경산현의 최응담이 창의했다. 이 중 하양현 신해의 창의 기록은 곽재우보다 2일 앞선 창의였으나, 명장으로 알려진 곽재우에 비해 신해의 창의와 경산의병의 활약은 알려지지 못했다는 점을 짚어낸다.

3부 우리의 의병을 기억하다에서는 86명의 의병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룬다. 병의 유물이 전해진 것은 많지 않지만, 여러 기록을 통해 우리의 의병이 임진왜란 중 각종 전투에 참여한 사실, 임진왜란 당시 치뤄진 별시에 급제하여 나라를 지키고자 한 노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4부 그 날의 불씨를 오늘에 잇다에서는, 의병의 공로를 인정하여 선조가 하사한 “선무원종공신녹권”을 소개한다. 경산지역 의병 86명 가운데 24명이 녹권을 하사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현존하는 자료는 송응현, 김응룡의 녹권이다.

박물관은 이번 전시가 조명받지 못한 지역사를 재조명하고 시민과 함께 공유하는 전시인만큼 시민참여 요소도 강화했다.

14일 개막식 당일에는 ‘미래 세대가 전하는 지역의 역사’를 주제로 경산시립박물관 청소년해설사들이 전시 해설을 함께 진행했다.

한편 본 기획전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조현일 경산시장은 “430여년 전 나라가 무너지고 희망이 흔들리던 순간에 분연히 일어나 싸웠던 경산의 의병들은 이 시대 우리가 다시 새겨야 할 용기이자 자부심이며, 이번 전시가 경산 시민 모두와 함께 의병의 신념이 되살아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home 전병수 기자 jan2111@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