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이글스 불꽃쇼 앞두고 대전시 안전관리 총력…“대규모 인파, 대비 체계 관건”

2025-11-18 13:43

add remove print link

대전시, 안전관리위원회 열고 불꽃‧드론쇼 전방위 점검
이태원 참사 이후 반복되는 대규모 행사 안전 과제

대전시“대규모 불꽃축제 시민 안전 최우선” / 대전시
대전시“대규모 불꽃축제 시민 안전 최우선” / 대전시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이달 말 예정된 대규모 불꽃축제를 앞두고 대전시가 안전관리 대책 마련에 나섰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반복된 군중사고와 밀집사고를 의식해,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한 사전 점검과 대응계획이 강조되고 있다.

대전시는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한화이글스 불꽃쇼’에 대한 안전관리위원회를 열고, 행사 전반의 안전관리계획을 심의했다. 회의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재난책임기관, 소방·경찰·의료기관 등 유관 기관과 민간 전문가 30여 명이 참석했다.

심의 내용은 안전인력 배치, 밀집 인파 관리, 응급의료체계 구축, 교통 통제, 화약류 안전관리 등 전방위적 항목을 포함했다. 특히 불꽃쇼와 드론쇼가 동시에 진행되는 만큼, 예상보다 많은 관람객이 엑스포다리 일대에 몰릴 가능성이 제기됐다.

시는 안전관리계획에 대해 행사 전날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행사 당일에는 현장 종합상황실을 운영해 실시간 대응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또한 안전관리위원회에서 제기된 보완사항을 최종 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이번 불꽃쇼는 한화이글스 구단이 창단 40주년과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기념해 11월 30일 오후 7시 대전 엑스포다리 일원에서 주최하는 행사로, 수만 명의 관람객이 운집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시는 “시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모든 단계에서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밝혔지만, 전문가들은 ‘기획 단계부터 군중 밀집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프로토콜이 정착돼야 한다’는 지적을 이어가고 있다. 이태원 참사 이후에도 각 지자체는 반복적으로 비슷한 안전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현장 운용 실효성에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시민 참여형 야외 축제는 지역 활력과 공동체 회복에 기여할 수 있지만, 그 전제는 철저한 안전 확보다. 단순 대응 중심이 아닌 ‘사전 설계 기반 군중관리 체계’가 뒷받침돼야만 반복되는 재난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 이번 불꽃축제가 그런 기준점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