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추적'] 창원시, 사고 뒤에만 나타나는 도시
2025-11-20 04:31
add remove print link
— 리더십 공백 · 절차 불투명 · 책임 회피, 올해 국감이 밝힌 세 가지 민낯

[전국=위키트리 최학봉 선임기자] “사고는 즉시, 책임은 잠적”… NC파크의 무정부 상태
시민이 구조물에 맞아 숨진 그날, 창원시의 컨트롤타워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다.
시장도, 시설관리공단 이사장도 공석. 현장은 혼란인데 행정의 ‘책임자 자리’만 말끔히 비어 있었다.
사고 이후 창원시는 스스로 조사위를 꾸려 ‘창원시가 창원시를 조사하는’ 기막힌 구조를 유지했다. 국토부가 재구성을 요구했지만 들은 체도 하지 않았다. 국감장에선 “창원시는 무엇이 두려워 조사위를 못 바꾸나”라는 질타가 쏟아졌다.
“말로만 해명”… 개발제한구역·산단 지정 의혹, 오히려 더 커졌다
의창구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제2국가산단 지정 과정은 올해 국감에서 가장 뜨거운 지역 현안 중 하나였다.
정치 브로커의 “찍어준 땅” 발언, 도지사 측과 정치인의 상반된 진술…사실 여부를 떠나 의혹은 이미 대중의 판단 영역으로 넘어갔다.
문제는 창원시다. 정작 절차적 투명성을 보여야 할 주체인 창원시는 ‘우리는 아니다’ 외엔 어떤 설명도 내놓지 못했다. 설명 공백은 결국 의혹의 영양분이 됐다.
웅동학원 사회환원 지연… 책임은 서로에게 떠넘겼다
진해 웅동학원의 채무는 90억 원대. 그러나 지난 6년간 갚은 건 1억 원 남짓. 사회환원을 약속했지만, 약속은 멈춰 섰다.
감독 책임이 있는 경남교육청과 창원시는 “그건 저쪽 소관”이라며 서로 벽만 쌓았다. 그 사이 약속은 공중에 떠버렸고, 국감에선 “이 정도면 법인 해산 검토해야 한다”는 강한 지적까지 나왔다.
기자의 결론
창원시가 맞닥뜨린 문제는 ‘사건’이 아니라 ‘체질’이다. 책임지는 자리는 비어 있고, 조직은 자신을 조사하고, 행정은 설명보다 부인에 익숙하다.
국감은 문제를 드러냈지만, 문제를 해결할 주체는 결국 창원시다. “사고 뒤에만 나타나는 도시”를 벗어나지 못한다면, 창원시는 앞으로도 같은 질문에 또 답해야 할 것이다. ‘당신들은 시민을 지킬 준비가 되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