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억 꿀꺽' 최근 기승 부리는 이 '사기 행위'…운전자 분들 조심하세요
2025-11-20 16:46
add remove print link
'ㅅㅂ(수비)', 'ㄱㄱ(공격)' 등 은어 사용
텔레그램과 SNS를 거점으로 확산되던 ‘자동차 고의사고 사기’가 결국 금융당국과 경찰의 연합 조사망에 걸려들었다. 온라인 공간에 무작위로 퍼지던 고액 알바 광고 뒤에는 역할을 나눠 사고를 연출하고 보험금을 노리는 조직적 범죄가 자리하고 있었고, 금융감독원은 렌터카공제조합과 손잡고 세 차례 기획조사를 단행해 그 실체를 드러냈다.

금융감독원은 렌터카공제조합과 공조해 텔레그램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사기 및 알선·유인행위에 대해 3차례에 걸쳐 기획 조사를 실해 경찰에 수사의뢰를 했다고 20일 전했다.
적발된 모집책들은 SNS에 자동차 고의사고를 암시하는 광고글과 텔레그램 아이디를 게시해 고의로 교통사고를 낼 사람을 끌어모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ㅅㅂ(수비)’, ‘ㄱㄱ(공격)’ 등 은어를 사용하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어 유혹에 흔들릴 수 있는 이들이나 보험 절차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을 노린 것으로 조사됐다. 모집책 등은 광고를 보고 텔레그램을 통해 접촉한 사람들에게 자동차 고의사고 장소와 시간을 조율하고, “가벼운 접촉만으로 충분한 합의금을 받을 수 있다”, “보험사가 다 처리해서 본인 책임이 아니다”, "실제 이렇게 해서 수천만원을 쉽게 벌었다"등의 말로 공모자들의 참여를 부추겼다.

연락을 이어가기 전에 차량등록증과 운전면허증 사진을 요구해 개인정보를 먼저 확보하는 방식도 사용했다. 모집책과 공모자들은 역할을 나눠 가해자·피해자·동승자로 참여했고, 진로 변경 사고, 교차로 충돌, 후미추돌 등 여러 유형의 고의사고 방식을 합의했다.
사고 후에는 병원 진단서를 허위 또는 과장해 발급받거나 일부러 입원해 보험사 등을 통해 대인 합의금과 미수선 처리비 등을 과도하게 요구해 보험금을 받아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합의 보험금 등을 미끼로 보험사에 압박을 가해 대인·대물 합의금을 받아낸 뒤 공모자에게 약속한 편취 보험금을 송금했고, 한 번 가담한 사람에게 반복적으로 참여를 요구하기도 했다. 조사 위험이 커지면 책임을 공모자에게 떠넘기는 사례도 있었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은 텔레그램 등을 활용해 자동차 보험사기를 벌인 관련자 182명을 적발하고, 이 가운데 4명을 구속했다. 이들이 챙긴 보험금은 약 23억 원에 달한다.

금감원은 SNS 기반의 자동차 고의사고 유형은 경제적으로 취약하고 SNS에 익숙한 20대~30대가 주 타겟이 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SNS, 텔레그램 등을 통해 사고를 제안받을 경우 즉시 거절하고 금감원이나 보험사 신고센터로 제보해 달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단순 가담하더라도 보험사기 혐의로 처벌될 수 있다는 점도 경고했다.
보험사기 신고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유선 상담‧신고) ☎1332 – 4번(금융범죄) - 4번(보험사기) ▶ (인터넷 접수) 금융감독원 홈페이지(www.fss.or.kr) 상단 『민원‧신고』 → 『불법금융신고센터-보험사기신고』 ▶ (우편 접수)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38 금융감독원 보험사기대응단※ 각 보험회사 홈페이지 내 『보험사기 신고센터』도 운영
자동차 보험사기란?
자동차 보험사기는 자동차보험 제도를 악용해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사고를 꾸미거나, 실제 사고 규모를 부풀리거나, 이미 보상받은 손해를 다른 사고인 것처럼 위장해 다시 청구하는 방식으로 보험금을 부정하게 받아내는 범죄를 뜻한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부정 청구 수준을 넘어,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가 보험회사와의 신뢰관계를 깨뜨리고 제도적 기반을 흔드는 중대한 위법 행위로 분류된다.
이 범죄는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뉜다. 첫째는 ‘허위사고’ 유형으로, 실제로는 아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고의로 차량을 접촉하게 하거나 이미 있던 손상을 새로운 사고로 조작해 보험금을 받아내는 방식이다.
둘째는 ‘과장·중복 청구’ 방식으로, 경미한 피해임에도 손해를 크게 주장하거나 이미 수리·보상을 받은 내용을 또 다른 사고처럼 포장해 이중으로 보험금을 요구하는 형태다. 두 유형 모두 정상적인 사고 보상 체계를 교란해 보험사의 손실을 유발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전체 가입자가 부담해야 하는 보험료 인상으로 직결된다.
이러한 보험사기 행위가 반복되면 보험회사는 비용을 방어하기 위해 보험료를 인상할 수밖에 없고, 결국 선량한 가입자들까지 불필요한 부담을 떠안게 된다. 아울러 고의사고로 인한 안전 위협, 과장 진단으로 인한 의료비 낭비 등 사회 전반의 비용 상승과 위험 증가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단순한 금융범죄를 넘어 민생을 해치는 범죄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