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굴은 외국산보다 안전하지 않잖아'란 생각이 크나큰 오해인 이유
2025-11-21 10:57
add remove print link
정부가 공식 발표한 내용 새삼 조명

한국소비자원은 2012년 12월 '노로바이러스 모니터링 결과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시중에 유통 중인 굴 40종을 조사한 결과 1종에서만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돼 검출률이 2.5%에 그쳤다. 반면 외국의 굴 노로바이러스 오염률은 3.9%에서 76.2%에 달해 한국산과 큰 차이를 보였다. 
영국 식품안전청(FSA)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간 영국 전역 해안의 굴 844종을 조사한 결과 643종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돼 76.2%의 검출률을 기록했다. 한국의 30배가 넘는 수치다. 검출된 노로바이러스 유형을 보면 GI 유형만 검출된 경우가 176종(20.9%), GII 유형만 검출된 경우가 65종(7.7%), GI과 GII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가 402종(47.6%)이었다. 노로바이러스의 GI 유형과 GII 유형은 유전자 구성에 따라 분류된 그룹이다. 이 중 GII 유형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우세하게 유행하며 대규모 집단 감염을 주로 일으키는 유형으로 알려졌다.
독일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굴을 포함한 패류 3종 70개를 조사해 36개에서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했다. 검출률은 51.4%로 절반을 넘었다. 이탈리아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조개류 6종 163개를 모니터링한 결과 94개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돼 57.7%의 검출률을 보였다. 
뉴질랜드는 2008년 굴 60개를 조사해 30개에서 검출됐으며, 검출률은 50%였다. GII 유형만 검출된 경우가 12개(20%), GI과 GII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가 18개(30%)였다. 프랑스는 2008년 굴 62개를 조사해 33개에서 검출돼 53%의 검출률을 기록했고, 2010년 굴과 홍합 46개를 조사했을 때는 15개에서 검출돼 32.6%를 나타냈다.
네덜란드는 2003년부터 2004년까지 굴과 홍합 42개를 조사해 6개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돼 14.3%의 검출률을 보였다. 일본은 2001년부터 2002년까지 굴 191개를 모니터링한 결과 17개에서 검출돼 9%를 기록했다. 미국은 2007년 워싱턴주에서 굴 388개를 조사해 15개에서 검출됐으며, 검출률은 3.9%였다.
노로바이러스는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다. 20nm 정도의 소형 원형 바이러스다. 10~100개의 적은 수로도 감염을 유발한다. 냉장·냉동 온도에서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감염력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오염된 식품을 섭취한 후 24~48시간이 지나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식중독 증상을 유발한다.
한국소비자원은 당시 서울 시내 대형 유통 매장, 백화점, 재래시장, 도매시장 등 14곳에서 수산물 100종을 구입해 조사했다. 가열하지 않고 섭취 가능한 수산물 60종(굴 40종, 우렁쉥이·해삼 각 10종)과 가열 후 섭취하는 수산물 40종(키조개·바지락·홍합·꼬막 각 10종)을 대상으로 실시간 유전자 증폭 반응(Real-time PCR), 유전자 증폭 반응(Conventional PCR), 염기서열 분석 등의 방법으로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했다.
조사 결과 굴 1종, 바지락 2종, 홍합 1종 등 총 4종(4.0%)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 가열하지 않고 섭취 가능한 수산물 60종 중에서는 굴 1종만 검출돼 1.7%의 검출률을 보였다. 가열 후 섭취하는 수산물 40종에서는 바지락 2종과 홍합 1종에서 검출돼 7.5%의 검출률을 기록했다.
검출된 노로바이러스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굴에서는 GI 유형이, 바지락 2종에서는 GII.13 유형이, 홍합에서는 GI.4와 GII.4 유형이 동시에 검출됐다. 노로바이러스는 분류학적으로 5개 유전자형(GI~GV)으로 나뉘며, 이 중 GI과 GII 2개 유전자형이 사람에게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보고서는 한국산 굴의 낮은 노로바이러스 검출률에 대해 "정부의 해역 수질관리 대책 수립 및 시행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12년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수출 패류 생산 지정 해역 위생 점검 이후 인분이 지정 해역으로 직접 유입되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국내산 굴 수입을 중단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뗏목식 바다 공중화장실'을 설치하는 등 위생 관리를 강화했다. 굴 생산 지정 해역으로 어업인들의 인분이 직접 유입해 발생하는 수질 오염과 노로바이러스 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다만 당시 보고서는 "가열 처리 없이 섭취 가능한 굴 제품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소비자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철저한 위생 관리로 안전한 수산물이 소비자에게 제공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소비자원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굴과 바지락 등 이매패류를 조리할 때 중심부가 85도에서 1분 이상 되도록 가열해 섭취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이매패류를 세척한 다음에는 락스 등 소독제를 200배(염소농도 200ppm) 희석해 주방, 시설, 기구 등을 완전히 소독해야 교차 오염을 피할 수 있다고 했다. 이미패류란 몸이 두 장의 껍데기(패각)로 덮여 있으며 아가미를 이용해 물속 플랑크톤을 걸러 먹고 사는 조개, 굴, 홍합 등을 포함하는 연체동물 그룹이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환자 수는 한 해 평균 1300여명이다. 전체 식중독 연간 평균 환자의 약 20%를 차지한다. 노로바이러스 감염 굴이 적음에도 환자가 많은 이유는 한국인이 그만큼 굴을 많이 먹기 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