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추적'] 동명대학교 입시 비위의 민낯...“숫자를 맞추기 위해 유령 신입생”

2025-11-21 11:41

add remove print link

- 대학이 가장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입학 공정성과 학적 관리의 원칙이 무너졌다
- 책임경영의 시험대 – 동명대 법인·총장의 첫 과제
- 입시판 ‘유리문’ 깨졌나? – 모집비위 실체를 묻다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시기, 지방 사립대에게 신입생 충원율은 생존을 좌우하는 숫자였다. 동명대 역시 그 압박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 사진제공=동명대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시기, 지방 사립대에게 신입생 충원율은 생존을 좌우하는 숫자였다. 동명대 역시 그 압박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 사진제공=동명대

[전국=위키트리 최학봉 선임기자] 부산 남구 동명대학교에서 드러난 입시·모집 비위 의혹은 단순한 ‘행정 오류’로 설명하기 어렵다. 사건의 줄기를 따라가 보면, 몇 년에 걸쳐 반복된 전산 기록의 비정상적인 처리, 그리고 이를 둘러싼 늑장 대응·축소 의심 정황이 분명히 존재한다.

‘충원율’이 만들어 낸 기형적 구조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시기, 지방 사립대에게 신입생 충원율은 생존을 좌우하는 숫자였다. 동명대 역시 그 압박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문제는 그 숫자를 맞추기 위해 ‘전산의 학생’이 실제 학생을 대신하게 된 점이다. 입학팀과 학과 행정 사이에서 자퇴생이 이유 없이 ‘재입학 처리’되는 사례가 반복됐고, 지원 이력이 불분명한 ‘유령 신입생’ 의혹까지 제기됐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관계자는 “정원 미달 압박이 심해지면서 ‘일단 등록부터 올리고 보자’는 분위기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전산 조작성 입력은 곧바로 국가장학금·재정지원 평가 지표에 영향을 준다. 충원율이 부풀려지면 대학이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 규모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내부 감사는 뒤늦게, 징계는 최소 범위만

동명대는 올해 초 내부 진상조사를 실시해 직원 1명, 교원 1명을 해임했다. 학교 측은 “전산 처리상의 비위가 일부 확인됐다”고 인정했지만, 그 범위·기간·관련자 규모에 대해서는 명확한 공식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내부 제보와 문건은 다르게 말하고 있다. 일부 자료에서는 2년 전 특정 전형에서 이상 패턴이 이미 발견됐으나, 즉시 외부 보고 대신 내부 처리에 그쳤다는 정황이 담겨 있다. 이는 ‘축소·은폐 의혹’의 근거가 된다.

해임된 두 명만으로 여러 해 동안 발생한 전산 처리 오류를 설명하기도 어렵다. 전산 접근권한·학과 협조·입학처 검증 등이 모두 얽힌 구조이기 때문이다.

경찰 수사… “단순 실수로 보기 어려운 기록들”

부산경찰청은 올해 두 차례 동명대 관련 부서를 압수수색했다. 확보된 자료에는 학사전산 로그, 입학처리 내역, 담당자 접근 기록, 그리고 특정 시점에 몰려 있는 전산 수정 흔적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는 업무방해, 사기, 사립학교법 위반 가능성을 모두 열어둔 상태다. 경찰 내부에서는 “전산 기록만 봐도 단순 실수보다는 구조적 문제로 보인다”는 반응이 나온다.

이 과정에서 전임 총장은 올해 초 사퇴했다. 표면적으로는 임기 만료에 따른 절차였으나, 입시 비위 논란과 무관한 결정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게 대학 안팎의 시각이다.

결국 남는 질문은 단 하나

이제 남은 질문은 단순하다. “이 비위는 일부 직원의 일탈인가, 아니면 대학 시스템 전체가 만든 구조적 문제인가.”

입시·재정·전산·총장·이사회까지 이어지는 의사결정 구조를 고려하면, 이번 사건은 단기간에 끝날 사안이 아니다.

수년 동안 전산상 ‘보이지 않는 학생들’이 방치됐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대학이 가장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입학 공정성과 학적 관리의 원칙이 무너졌다는 점이 분명하다.

“누가 입력했는가”를 넘어 “왜 이런 구조가 가능했는가”까지 다다를 수 있을지가 이 사건의 핵심이다.

기자의 취재 포인트 및 님은 의문

구체적 비위 형태: 모집비위가 구체적으로 어떤 전형·학과·단계에서 발생했는가?

당사자 및 책임소재: 누가 어떤 역할을 했는가, 얼마나 많은 입학생이 영향을 받았는가?

학사·모집자료의 신뢰도: 모집요강·전형요소 등이 적법하게 운영됐는가?

법인-대학 운영관계: 이사회·총장·입학처 간 책임과 감독구조는 어떻게 돼 있는가?

후속 조치 및 재발방지: 내부감사·외부감사·입시 전형 개편 등 개선책이 마련돼 있는가?

부산광역시 교육청이 어떤 감시·감독 역할을 했는지?

home 최학봉 기자 hb7070@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