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추적'] 경성대학교, ‘과거의 그림자’가 현재를 흔들다
2025-11-21 12:46
add remove print link
– 배임 유죄 이사장, 공시 강화, 내부 통제 적신호
– 사립대 법인 거버넌스 취약성, 2025년에도 해소되지 않았다
– 대학 구성원 신뢰 회복 과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

[전국=위키트리 최학봉 선임기자] 2025년 경성대학교는 과거 이사장 배임 사건의 후폭풍이 여전히 남아 있는 가운데, 법인 운영의 투명성과 내부 통제 부실 문제를 추적한다.
■ “사건은 끝났지만, 후폭풍은 끝나지 않았다”
2025년의 경성대학교를 둘러싼 의혹은 새로운 폭로라기보다, 과거의 비리가 지금까지 구조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는 데 집중된다.
핵심은 학교법인 한성학원을 이끌었던 김동기 전 이사장의 배임 유죄 판결이다.
2013년부터 수년간 정관 근거 없이 비상근 이사장 신분으로 급여를 수령했고, 법원은 이를 배임으로 인정해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판결은 2022년에 내려졌지만, 그 파장은 '2025년까지 경성대를 따라다니는 ‘현재형 문제’로 남아 있다.
■ 공시에도 남은 흔적들… 경고·문책·회수조치의 연속
취재 과정에서 확인된 공시자료에는 2023~2025년 사이 연속된 내부조치가 기록돼 있다. 비상근 이사장 보수 문제와 관련해 경고, 문책, 부당 수령액 회수, 등의 조치가 반복적으로 명시됐다.
이는 사립학교법의 허점을 지적받았던 이 사건이 일회성의 범죄가 아니라 조직운영 체계 전체에 영향을 미친 사안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법인의 거버넌스가 얼마나 취약했는지, 내부 감시 기능이 제대로 작동했는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 내부 구성원들의 문제 제기… “절차는 투명했는가”
경성대 내부에서는 이사장 보수 문제뿐 아니라 학칙 개정, 총장·이사 선임 구조, 교수협의회 배제,
등 다양한 절차적 문제제기가 이어졌다.
교수협의회는 수차례에 걸쳐 “대학의 중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참여가 배제됐다”고 주장했고, 일부 사안은 법원에서도 절차적 하자가 존재한다는 판단을 받았다.
이러한 문제는 특정 개인의 일탈에 그치지 않고, 사립대 법인 구조의 불투명성이라는 근본적 문제로 이어진다.
■ 2025년의 질문: “경성대는 과거를 끝냈는가”
2025년 현재, 교육부나 부산시교육청의 새로운 감사 결과가 공개된 것은 없다. 그러나 공시자료와 내부 구성원들의 문제제기, 법원의 판단을 종합하면 경성대의 과거 비리 논란이 완전히 정리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결론에 이른다.
특히 이사회 감시 기능, 법인 운영 투명성, 대학 구성원의 참여 보장, 등 대학의 핵심 운영 구조는 여전히 재정비가 필요한 영역으로 남아 있다.
■ 기자의 시선 “비리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
경성대의 2025년 비리 논란은 ‘발각된 사건의 나열’이 아니다. 이 사건이 남긴 가장 큰 메시지는 사립대학 시스템의 취약성이다.
정관·규정 없이 이뤄진 급여 지급 이를 제때 막지 못한 법인 감시체계의 결함 구성원 의견이 구조적으로 배제된 의사결정 시스템 그리고 이 모든 문제를 뒤늦게 확인한 공시제도 중심의 사후관리 경성대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립대학 전반의 공동 과제라는 구조적 의미를 가진다.
2025년의 경성대학교는 과거의 문제를 다시 마주하고 있지만, 그 마주침이 투명성 확보와 신뢰 회복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한편 경성대학교 불투명한 학교 운영은 김동기 이모부인 송수건 이사장의 총장 시절에도 발생한 바 있다. 본지는 4대에 걸쳐 내려오는 가족경영 아래의 경성대학교를 해부하는 기사를 시리즈로 보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