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정체의 주범인 '이것'… 경찰청 올해부터 무인단속 나선다

2025-11-25 10:29

add remove print link

경찰청, 12월부터 강남구 국기원사거리에 교차로 꼬리물기 무인교통단속장비 시범 운영
2027년까지 전국으로 확대 예정

혼잡한 도심 교통환경을 더 혼란하게 만드는 꼬리물기에 대해 경찰청이 칼을 빼들었다. 경찰청은 12월부터 서울 강남구 국기원사거리에 교차로 꼬리물기 무인교통단속장비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2026년 2월까지 3개월간 운영 예정이며, 초기에는 계도 위주의 운영 방식이 적용된다.

◆ 인공지능 기반 영상분석 기술 적용… 단속 정확도 보완한 신규 장비

무인단속장비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 / 뉴스1
무인단속장비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 / 뉴스1

경찰청은 경찰청 R&D 연구와 연계해 교차로 꼬리물기 무인교통단속장비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자료에 따르면 장비에는 인공지능 기반 영상분석 기술이 적용돼 기존 단속 방식의 한계점으로 지적됐던 부분을 보완하고 정확도를 높였다. 또한 신호위반과 속도위반 단속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설계해 하나의 장비로 통합 운영이 가능해 효율성과 유지관리 편의성을 높였다.

꼬리물기 단속은 정지선 이후 교차로에 정차금지지대가 표시된 교차로에 시행된다. 녹색 신호에서 교차로에 진입했더라도 적색 신호로 전환된 뒤 일정 시간 동안 정차금지지대를 빠져나가지 못한 차량이 단속 대상이 된다. 단속 기준 시간은 황색 신호 및 전적색 신호 시간, 그리고 다른 방향 교통 흐름을 고려해 설정한다고 경찰청은 설명했다.

◆ 기존 무인단속장비에도 기능 추가 검토… 2027년 전국 확대 목표

AI로 생성한 교차로 꼬리물기 모습.
AI로 생성한 교차로 꼬리물기 모습.

경찰청은 이번 장비의 신규 설치뿐 아니라 기존 신호 및 과속 무인단속장비에 꼬리물기 단속 기능을 추가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2026년에는 상습 정체 교차로 10곳에 우선 설치하고, 2027년부터 전국 확대를 추진한다. 전국적으로 꼬리물기가 잦은 교차로는 883곳으로 집계됐다.

그동안 경찰청은 꼬리물기를 포함해 새치기, 버스전용차로 위반, 끼어들기, 비긴급 구급차 교통법규 위반 등을 5대 반칙운전으로 규정하고 집중 단속을 이어왔다. 관계자는 "녹색 신호라고 해도 교차로 안이 정체된 상황이라면 진입하면 안 된다"며 위반 행위를 지속적으로 단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도로교통법 제25조 제5항에 따르면 앞 차량 상황으로 교차로 내부에 정지해 다른 차량 통행을 방해할 우려가 있을 경우 교차로 진입을 금지하고 있다. 이를 위반할 시 승용차 기준 범칙금은 4만 원, 과태료는 5만 원이 부과된다.

교차로 꼬리물기 무인단속장비 개요. / 경찰청
교차로 꼬리물기 무인단속장비 개요. / 경찰청

※ 더 많은 자동차 관련 소식은 모빌리티 전문 매체 '카앤모어'에서 확인하세요.

home 권혁재 기자 mobomtaxi@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