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2편'] 박완수 경남의 ‘3가지 변화’...숫자보다 현장을 먼저 바꾼 도정
2025-11-25 16:39
add remove print link
-“현장을 뚫고 들어가는 도정”… 제조업 회복의 흐름을 직접 만들다
- 미래산업 재편의 지휘자… 경남 산업지도를 새로 그린 박완수
- 민생을 먼저 보는 행정… 도민 삶에서 체감되는 ‘동행 복지’ 실현

[전국=위키트리 최학봉 선임기자] 경남 곳곳을 다니다 보면 묘한 공통점이 보인다. 산업단지 주변 식당의 점심 손님이 늘었고, 고령층은 버스를 ‘예전보다 자주 타게 됐다’고 말한다. 통계표가 아니라 사람들의 말이 바뀌었다는 점에서, 박완수 도정의 최근 성과는 단순한 행정 보고서보다 현장에서 먼저 드러난다. 경제 회복, 산업 재편, 민생 복지—세 가지 축이 동시에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① 제조업,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몇 년 전만 해도 “공장 불이 꺼질까 두렵다”는 말이 도내 현장에서 심심치 않게 들렸다. 그러나 최근 상황은 분명히 달라졌다.
민선8기 출범 이후 32조 원대 투자유치, 제조업 생산지수 반등, 수출 회복이 이어지면서 제조업이 다시 경남의 심장 역할을 하고 있다.
창원·거제 등 주력 제조업 도시에서 채용 공고가 눈에 띄게 늘었고, 기업 관계자들은 “하청 인력 확보 경쟁이 다시 시작됐다”고 전한다.
물론 지역별 체감 온도차는 존재한다. 서부경남 일부 지역은 ‘수치만 좋아졌다’는 평가도 내놓는다. 하지만 대다수 산업단지에서 ‘가동률 상승→고용 회복→지역 소비 증가’라는 흐름이 실제로 관찰된다.
경제정책이 책상 위가 아니라 현장에서 효과를 내기 시작했다는 점은 기자로서도 주목할 지점이다.
② 경남 산업지도, 다시 그리고 있다
박완수 도정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제조업 유지”가 아니라 ‘미래 산업으로 체질 교체’를 본격화했다는 점이다.
우주항공청 개청 추진, 창원 제조AI 혁신 클러스터 조성, SMR(소형모듈원자로) 제조·실증 기반 구축, 남해안권 광역 교통·물류망 재편 이다.
이 네 축은 경남을 ‘전통 제조 공업지대’에서 ‘미래 전략산업 중심지’로 바꾸려는 일종의 리셋에 가깝다. 산업단지 현장의 분위기도 바뀌었다. “부품공장에서 항공·우주 사업 문의가 들어온다”는 얘기가 들릴 정도다.
다만, 기획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우주항공청 권한 구조, 제조AI 기업 생태계, SMR 인허가 문제 등은 향후 수년간 검증이 필요하다. 박완수 도정이 만든 ‘판’ 위에 실제 기업과 기술이 들어와 자리를 잡는지가 관건이다.
③ 복지·민생은 ‘생활권’에서 변화
박 지사는 “제일 먼저 바뀌어야 할 것은 도민의 생활”이라고 말한다. 최근 경남의 복지 정책은 확실히 생활권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75세 이상 어르신 교통비 환급(경남패스) 경남도민연금 모델 시범 적용, 농어촌 고령층 중심 주거·의료 접근성 개선 이다.
특히 경남패스는 단순 복지혜택이라기보다 ‘이동권 복원 정책’에 가깝다. 지방에서 어르신의 이동은 의료·장보기·일상 유지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민연금 모델은 노후 공백이 긴 제조업 중심 지역 특성상 실험적 가치가 크다.
문제는 재정 지속성이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복지정책이 정책본부 보고서에서 나오는 문장이 아니라 시골 정류장, 읍내 시장, 노인정 등에서 체감되고 있다는 점이다.
기자의 눈, 경남은 지금 ‘변곡점’을 지나고 있다
경남의 변화는 조용하지만 뚜렷하다. 박완수 지사는 거창한 정치 구호보다 “현장의 관성을 깬 행정”에 집중하는 스타일이다. 그 속에서 경제 회복의 신호, 산업 재편의 구조, 복지 체감의 변화가 동시에 쌓이고 있다.
총평하자면, 제조업이 살아나면서 경제의 숨결이 돌아왔고, 미래 산업을 위한 경남의 새 지도가 그려지기 시작했으며 민생·복지 정책이 ‘체감형’으로 바뀌었다.
정책의 성과는 시간이 증명하지만, 현장의 공기가 변한 것은 이미 감지된다. 그래서 지금의 경남은 ‘정체’를 지나 ‘변곡점’으로 넘어가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