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부터 전격 시행하는 ‘코로나 개인안심번호’, 고교생 해커의 아이디어였다
2021-02-05 14:35
add remove print link
윤종인 개인정보보호위원장 중앙일보 인터뷰서 밝혀
“코로나19 방역 와중 개인정보 유출 우려 잠재울 것”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이다. 2011년 9월 30일 대통령 소속 행정위원회로 발족했으며, 2020년 8월 5일 국무총리 소속으로 변경되면서 중앙행정기관으로 격상했다.
‘코로나19 개인안심번호’의 핵심은 현재 수기명부에 기입하는 휴대전화번호를 대신할 숫자 4자리와 문자 2자리로 이뤄진 총 6자리의 개인안심번호를 도입하는 것이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개인정보 유출·악용을 막기 위한 방안이다.
그런데 이 ‘코로나19 개인안심번호’의 도입을 한 고교생이 제안한 것으로 밝혀져 화제를 모으고 있다. 윤종인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은 5일자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이처럼 밝혔다.
그는 ‘코로나19 개인안심번호’를 한 고교생 해커가 제안했다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QR코드 사용을 기피하는 분들이 전화번호를 손으로 적었는데 그에 따른 마지막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추가 대책을 낸 것이다. 지난해 11월부터 대안을 연구했고, 민간 해커 모임인 '코드 포 코리아'가 참여했다. 그 과정에서 휴대전화를 코드로 전환하는 아이디어를 한 고교생 해커가 재능 기부했다. 휴대전화는 통신사들이, 안심번호는 QR코드 발급 3사가, 출입 정보는 정부(보건복지부 산하 사회보장정보원)가 분산 관리한다. 데이터는 분산될수록 안전성이 강화된다."
그러면서 윤 위원장은 "기존 QR코드에다 전화번호를 코드로 전환한 안심번호를 병행 사용하면 코로나 방역 와중에 개인정보 유출 우려는 대부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