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컨디션 난조, 어느 '과'로 가야 할까?” 증상별 병원 찾기 알려드립니다

2023-02-26 00:11

add remove print link

컨디션 난조, 어지러움 등 증상별 병원 찾기 꿀팁
이비인후과, 신경외과, 수부외과 등 진료과 안내

이가 아프면 치과를, 눈이 아프면 안과를 찾는다. 그런데 급격한 컨디션 난조, 갑작스럽게 찾아온 어지러움을 두고는 선뜻 진료 병원을 찾지 못할 수 있다. 증상별 혹은 문제 부위별 진료과를 정리했다.

1. 신경외과

신경외과 관련 사진 / Gorodenkoff-shutterstock.com
신경외과 관련 사진 / Gorodenkoff-shutterstock.com

신경외과는 특별한 이유 없이 두통이 생기거나 어지럼증이 생긴 경우 방문할 수 있다. 또 수면 중 다리에 경련이 왕왕 발생하는 경우, 다리에 쥐가 나거나 저려서 감각이 없는 경우에도 찾을 수 있다.

허리, 목 등 디스크가 의심되는 경우에도 찾을 수 있으며, 갈비뼈 부근에 통증이 있을 때, 관절이 삐었을 때도 진료받을 수 있다.

신경외과인 만큼 뇌 손상이나 출혈이 발생하는 때, 외상 후거나 수술 후 지속적인 통증이 생기는 경우에도 방문하자.

2. 피부과

피부과 관련 사진 / Andrey_Popov-shutterstock.com
피부과 관련 사진 / Andrey_Popov-shutterstock.com

피부 겉에서 보이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피부과는 부위와 상관없이 방문할 수 있다.

특히 손톱이나 발톱에 문제가 생기거나 원인을 알 수 없는 반점 혹은 두드러기가 생긴 경우, 지성 피부로 인한 여드름, 관련 트러블과 건성 피부로 인한 각질 문제 등도 내원 가능하다.

머리카락이 탈락하는 탈모 증상, 반대로 제모가 필요할 때도 진료받을 수 있다.

3. 정형외과

정형외과 관련 사진 / BELL KA PANG-shutterstock.com
정형외과 관련 사진 / BELL KA PANG-shutterstock.com

정형외과는 팔, 다리, 척추를 담당하는 과다. 관절이나 인대가 파열되어 정상적인 활동이 불가능할 경우에 내원할 수 있다.

발가락이나 손가락뼈가 골절, 비뚤어졌을 때 혹은 손목 통증이 발생해 잘 움직이지 않을 때 다리를 접질려서 거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방문한다.

다만 두개골은 신경외과, 안면은 성형외과 치과에서 진료가 이뤄진다.

4. 수부외과

수부외과 관련 사진 / A3pfamily-shutterstock.com
수부외과 관련 사진 / A3pfamily-shutterstock.com

수부외과는 손가락 등이 절단된 경우 이를 접합해주는 곳이다. 관련 사고가 발생할 때 여덟 시간 이내에 전문 수부외과를 찾아야 한다.

스마트폰으로 인한 손목 터널 증후군, 방아쇠 수지 등의 정형외과 질환도 수부외과에서 담당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정형외과, 성형외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뒤 연수 평점, 학술대회 평점, 논문 평점 기준을 충족하고 시험에 통과하면 수부외과 세부 전문의가 될 수 있다.

5. 산부인과

산부인과 관련 사진 / metamorworks-shutterstock.com
산부인과 관련 사진 / metamorworks-shutterstock.com

산부인과는 여성의 임신과 분만, 부인병을 다루는 과다. 월경을 시작한 여성이라면 건강한 관리를 위해 방문해야 하는 곳이다.

생리를 하지 않는 경우, 갑자기 생리 양이 증가한 경우, 생리 색이 평소와 다른 경우, 냉이 심하게 나오는 경우, 음부 주변이 가렵거나 통증이 발생한 경우에도 찾을 수 있다.

여성 미용 수술을 담당하는 과이기도 하다.

6. 비뇨의학과

비뇨기과 관련 사진 / New Africa-shutterstock.com
비뇨기과 관련 사진 / New Africa-shutterstock.com

산부인과는 여성, 비뇨의학과는 남성이 주로 찾는 곳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비뇨의학과는 성별을 불문하고 배뇨 기관을 다루는 과다.

요실금으로 소변을 참지 못하는 경우, 지나치게 자주 소변을 보는 경우(빈뇨)에 찾는 곳이다. 중·장년층 남성은 전립선 문제로 내원하기도 한다.

신장, 방광, 요도 등에 결석이 발생하는 경우, 요로계 감염, 성행위로 인한 질환 등도 진료받을 수 있다.

7. 대장항문외과

항문외과 관련 사진 / Prostock-studio-shutterstock.com
항문외과 관련 사진 / Prostock-studio-shutterstock.com

대장항문외과는 대장과 항문 질환을 주로 진찰, 치료하는 곳이다.

혈변을 보는 경우, 치질·변비 · 괄약근 관련 질환, 가려움, 통증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내원한다.

또 대장암, 직장암, 염증성 장 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치질, 항문 소양증, 항문농양 같은 항문 주위 질환 등도 진찰한다.

8. 내과

내과 관련 사진 / Pixel-Shot-shutterstock.com
내과 관련 사진 / Pixel-Shot-shutterstock.com

내과는 나쁜 컨디션이 지속되는 경우, 조금만 계단을 올라도 금방 숨이 차는 경우, 소화기 장애, 복부 팽만 등이 이어지는 경우에 방문하는 곳이다.

특히 쉽게 피로가 회복되지 않아 수면 시간이 늘어난 경우, 단기간에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빠진 경우에도 내원할 수 있다.

혈압이 높거나 심장이 빨리 뛰는 경우에는 순환기 내과를 방문하자.

9. 안과

안과 관련 사진 / chomplearn-shutterstock.com
안과 관련 사진 / chomplearn-shutterstock.com

안과는 눈과 관련된 질병을 다루는 의학과로 시력이 갑자기 저하되거나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지속적인 눈 통증이 있는 경우, 눈이 자주 가렵고 눈곱이 많이 끼는 경우, 눈이 건조해 불편함을 유발하는 경우에 방문 가능하다.

또 다래끼 같은 피부 질환이 생길 때도 피부과가 아닌 안과를 찾아야 한다.

10.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관련 사진 / Peter Leee-shutterstock.com
이비인후과 관련 사진 / Peter Leee-shutterstock.com

이비인후과는 귀와 코, 목에 관련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감기 기운이 있을 때나 침을 삼키지 못할 정도로 목이 아플 때, 귀에 물이 들어가 먹먹할 때, 목에 이물감이 들 때도 내원할 수 있다.

또 코골이·수면무호흡증이 심할 때, 비염 등으로 인해 코 성형수술을 할 때도 방문하는 곳이다.

home 강민선 기자 story@wikitree.co.kr

NewsChat